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획특집

  • 홈 아이콘HOME
  • 기획특집
  • 홈 아이콘
  • 기획특집
생물다양성 용어 잘 모른다 41.9%
첨부파일

생물다양성 용어 잘 모른다 41.9%
환경부, 국민인식 설문 조사
지자체 시민사회 협력 필수

생물다양성이 중요하다고 말은 하지만 정작 명확하게 그 용어를 인지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생물다양성이 중요하다'(매우 중요하다+중요하다)는 응답 비중이 89.7%였지만, 용어 자체를 잘 모른다는 시민도 41.9%나 됐다. 기후변화와 함께 생물다양성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른 상황에서 시민들의 관심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민 인식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민인식' 설문 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중 89.7%는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생물다양성 용어를 명확하게 아는 경우는 9.8%에 불과했다.

 지난해 12월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가 채택됐다. 이른바 '쿤밍 선언'으로 △생물다양성 회복 △보호지역 확대 △생태계 복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2030년까지 전세계 196개국은 육상과 해양의 최소 30%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

 또한 훼손 생태계 30%를 복원해야 한다. 생각보다 쉽지 않은 과제다. 다들 '30×30' 목표 달성을 위해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우리나라도 육상 13%, 해양 28%를 보호지역으로 추가해야 하는 큰 숙제가 생겼다.

 하지만 정작 '생물다양성협약 인지도'는 46.7%에 불과했다. 기후변화협약 인지도가 75.2%인 결과와 비교했을 때 현격히 낮은 수준이다.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현황 수준에 대한 질문에는 31.0%가 '풍부하다'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43.2%, '나쁜 편이다'는 14.0%다.

 이번 조사는 6월 20~25일 전국 17개 시도에 사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여론조사기관인 코리아리서치에 의뢰, 유무선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환경부는 " '30×30' 목표 달성은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들의 협력이 없이는 불가능"이라며 "산업계와 청소년단체 등과 간담회는 물론 대국민 공청회 등 다양한 소통 경로를 확보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박 정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과 공동으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의 주류화와 이행력 강화를 위한 지자체, 시민사회 토론회를 21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연다. △한국 지역생물다양성전략의 과거와 미래 △서울시 생물다양성전략의 수립과 이행 △국가-지역생물다양성전략의 연계 방안 △이행강화를 위한 시민참여 확대 방안 등 다양한 논의가 이뤄진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국가생물다양성전략은 우리나라의 생태계 보전은 물론 국제적 위상과도 연관된다"며 "이행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앞으로도 지자체와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더욱 경청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