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생활환경뉴스

  • 홈 아이콘HOME
  • 생활환경뉴스
  • 홈 아이콘
  • 생활환경뉴스
AI 물관리 혁신…국제 물기업으로 도약

AI 물관리 혁신…국제 물기업으로 도약

수공 ‘AI First 전략기획단’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AI First 전략기획단’ 운영을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기획단은 경영 수자원 수도 도시·글로벌 등 총 4개 분과를 포함해 인재육성(HRD) 연구개발(R&D) 등 6개 분야로 구성된다. 연말까지 인공지능 전환을 위한 실행 전략을 구체화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물서비스 혁신과 국가 물안보 대응력 강화를 위한 실효적인 중장기 대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가 경기도 화성에 있는 인공지능 정수장에서 약품주입동에 구현된터치형 화면을 보며 정수처리에 필요한 약품주입 자율공정 현황 등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한국수자원공사 측은 “‘AI First’는 인공지능 중심으로 물관리와 경영을 재편하겠다는 전략적 선언”이라며 “한국수자원공사가 물 분야 소버린 AI(Sovereign AI)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시켜 국제 탑(Top) 2 물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실시간 수질 예측 △인공지능 기반 누수 탐지 △정수장 운영 자동화 △수요 예측형 산업용수 공급 등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 기술 접목을 확대하는 한편, 기후위기 대응과 재난 예방 등 공공안전 분야까지 활용 범위를 넓혀 서비스 품질 향상과 지능형 물관리 저변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수도 수자원 도시 등 풍부한 자체 기반시설과 전문인력을 활용해 인공지능 기술 실증과 확산을 병행한다.

구자영 한국수자원공사 기획부문장은 “인공지능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며 “국민 생활과 산업 안보에 직결되는 물 분야야말로 소버린 AI 구축이 선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분야”라고 말했다. 이어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물관리 경쟁력을 갖춰 대한민국이 국제 물산업을 주도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세계 최초로 물관리에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한 인공지능 정수장을 구축한 성과로 지난해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글로벌 등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