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소개
인사말
오시는 길
구독신청
광고문의
종합뉴스
환경뉴스
지구촌뉴스
생활환경뉴스
기획특집
포토뉴스
생태자료
환경정보
환경정보
생활/건강
에너지자료
포토갤러리
환경플러스
활동사진
환경상식
환경칼럼
이달의 환경파수꾼
자원봉사신청
전체메뉴 닫기
소개
인사말
오시는 길
구독신청
광고문의
종합뉴스
종합뉴스
환경뉴스
지구촌뉴스
생활환경뉴스
기획특집
포토뉴스
생태자료
환경정보
환경정보
생활/건강
에너지자료
포토갤러리
환경플러스
활동사진
환경상식
환경칼럼
이달의 환경파수꾼
자원봉사신청
소개
인사말
오시는 길
구독신청
광고문의
환경정보
HOME
환경정보
환경정보
환경정보
환경정보
울릉도 신종버섯(작은노란대구멍장이)에서 항염증 효과 확인
울릉도 신종버섯(작은노란대구멍장이)에서 항염증 효과 확인생물자원관, 신규 생물소재 후보대량증식가능, 산업활용도 높아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작은노란대구멍장이버섯의 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작은노란대구멍장이버섯은 2017년 울릉도에서 최초로 발견돼 국가생물종목록에 기재된 목재부후균이다.작은노란대구멍장이버섯.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국립생물자원관과 김승영 선문대학교 교수 연구진은 작은노란대구멍장이버섯의 균주 배양액을 이용한 생리활성을 연구한 결과, 항염증 활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연구진이 작은노란대구멍장이버섯의 균주 배양액을 우리 몸의 염증반응을 조정하는 대식세포에 처리한 결과 △염증유발인자인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OS)는 80% 이상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단......
2023-11-23 환경뉴스
아득히 먼 우주에서 보낸 엽서같은, ‘섬의 산물’에 빠진다
아득히 먼 우주에서 보낸 엽서같은, ‘섬의 산물’에 빠진다한라산붉은겨우살이 작가 정상기 특별초대전18일부터 30일까지 제주도문예회관서 전시제주 생명젖줄 용천수 작품 15점 등 35점 눈길▲ 한라산붉은겨우살이 작품으로 유명한 정상기 작가가 제주의 또다른 풍경 제주의 용천수에 빠져 작품으로 승화해내 관심을 끌고 있다. 정상기 작가 제공▲ 마치 판화의 질감을 살려낸 듯, 혹은 아득히 먼 우주에서 보내온 영상편지를 연상케 하는 제주 용천수 ‘섬의 산물’ 작품들. 정상기 작가 제공한라산 붉은겨우살이 작품으로 유명한 정상기(55) 작가가 ‘제주 생명의 젖줄’ 용천수를 색다른 질감으로 앵글에 담는 시도를 해 또 한번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4일 제주도 문화예술진흥원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30일까지 제주도문예회관 3층......
2023-11-06 환경뉴스
광릉요강꽃과 어리호박벌의 '비밀협약'
광릉요강꽃과 어리호박벌의 '비밀협약' 어리호박벌이 함진아비 역할 … 꽃가루 등에 지고 '수정' 시켜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은 멸종위기의 벼랑끝에 서 있는 식물이다.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1급, 국가적색목록평가 위급(CR), IUCN 범주 위기(EN)로 분류된다. 세계적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만 분포하는 난초과 희귀식물이다.우리나라에는 경기 강원 전북 일부 지역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예전에는 명지산 화악산 천마산 화야산 죽엽산에도 많은 개체가 있었지만 지금은 대부분 자취를 감추었다.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1급. 1932년 광릉요강꽃을 처음 발견했던 경기도 광릉 죽엽산에서도 겨......
2021-05-07 환경뉴스
멸종된거 아니였어? 코끼리땃쥐 귀여움뽐내며52년만에 등장
멸종된거 아니었어? 코끼리땃쥐 귀여움 뽐내며 52년만에 등장 [출처: 중앙일보] 50년 만에 재발견된 소말리 코끼리땃쥐. Global Wildlife Conservation 새까맣고 동그란 눈에 뾰족한 코가 매력 포인트인 이 동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코끼리'로 알려진 소말리 코끼리땃쥐입니다. 만화에서나 등장할 법한 앙증맞은 외모의 이 동물은 실제로 1968년 과학자들에게 발견된 이후 자취를 감췄는데요. 최근 아프리카의 뿔로 불리는 아프리카 대륙 북동쪽의 지부티에서 무려 52년 만에 재발견됐습니다. 이름도 낯선 소말리 코끼리땃쥐, 정확히 말하면 코끼리도, 그렇다고 땃쥐도 아닙니다. 소말리 ......
2020-08-31 환경뉴스
비점오염원관리대책
비점오염원 관리 대책 수립배경 및 필요성 수질관리와 쾌적한 친수공간 조성을 위해 비점오염관리 필요성 더욱 증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조류발생우려로 비점오염원에서유입되는 영양염류 물질 등 관리 필요 물에 대한 욕구가 “먹는 물”에서 “쾌적한 친수공간 향유”로 변화되어 쾌적한 수변공간 확보 필요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특성 변화로 비점오염물질 유출 증대 강우강도 증가 등으로 지표면에 축적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으므로 강우유출수* 집중관리 필요 * 비점오염원의 수질오염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빗물 또는 눈녹은 물 등을 말함(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 비점오염원관리 대책 필요성 증대 토지이용......
2016-07-16 편집부
에너지란 무엇일까요?
에너지란 무엇일까요? 인간이든 동물이든 먹지 않으면 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 또 자동차나 비행기도 연료가 없으면 움직일 수가 없는데요. 에너지란 물체를 움직이게 하거나 물체에 어떤 변화를 주는 능력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주변에서 에너지를 한번 찾아볼까요? 낮이라면 태양이 빛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뿜어내고 있을 것입니다. 밤이라면 가로등이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내고 있을 것 입니다. 자동차는 에너지의 한 종류인 휘발유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놀거나 공부할 때 심지어 잠을 잘 때에도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사람들이 사용하는 에너지는 음식물로부터 나옵니다. 우리가 매일 먹는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도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농약을 만들거나 트랙터를 움직일때도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2015-10-13 편집보도부
생활속에너지절약은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1.지구의온도가높아지고있다.현재 지구는 석탄, 석유, 가스 등의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연간 50억 톤이 넘는 탄산가스를 배출하고 있으며 이 가스들이 대기권내에서 두텁게 막을 형성하여 태양열이 지구표면에 닿았다가 다시 대기권 밖으로 빠져나가야 되는 복사열 현상을 차단하기 때문에 지구의 온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지구 온실효과라고 하며, 온실효과는 대부분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원인이다.※온실가스의영향 2030년 경에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산업혁명 이전의 2배에 이르고 지구 평균기온이 1.5~4.5°C 상승하여 해수면이 20cm 정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100년 경에는 기온이 3~6.5°C 상승하고 해수면이 약 65cm높아지며 기상이변, 강수......
2015-10-13 편집보도부
생물다양성과학기구’ 아태지역 워크숍 개최
생물다양성과학기구’ 아태지역 워크숍 개최 환경부는 2일부터 4일까지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IPBES 아태지역 워크숍‘을 개최했다.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과학적 자문 역할을 담당하는 유엔 산하 정부간기구로서 작년 4월 공식적으로 설립이 결정된 후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일본 환경성, 유엔대학(UNU),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아시아ㆍ태평양 지구변동 네트워크(APN) 등과 공동으로 개최하며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등 16개국 30여명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가했으며, IPBES의 개념적 체계와 주요기능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과학적인 평가와 역량강화, 지식공유 등에 대......
2013-09-16 편집보도부
"제2의 '미스김라일락'을 막아라"
"제2의 '미스김라일락'을 막아라" 환경부,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320종 추가 선정 한 미군 식물채집가는 1947년 북한산 백운대에서 털개회나무 종자 12개를 채집해 미국으로 돌아가 7개를 성공적으로 싹 틔웠다. 이후 이 털개회나무는 조경수로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었고 1970년대부터는 우리나라에도 조경수로 수입됐다. 미국 라일락 시장의 30%를 장악하고 있는 이 털개회나무의 우리나라 이름은 ‘수수꽃다리’다. 하지만 세계시장에서는 당시 이 식물채집가가 붙인 이름인 ‘미스김 라일락’이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져있다. 수수꽃다리처럼 국내 자생식물이 외국으로 반출돼 상품으로 개발된 사례는 적지 않다. 한라산과 지리산 특산물인 구상나무는 1904년에 유럽으로 반출돼 현재 크리스마스트리로......
2008-02-01 환경뉴스
먹 는 물 수 질 검 사 기 관 현 황
먹 는 물 수 질 검 사 기 관 현 황 지정일자 (지정번호) 검사기관명칭 소재지 전화번호 비 고 '91. 4. 16 (제 1 호) 한국식품연구소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1002-6번지 (우:137-060) (02)585-5052 (F)523-2072 '92. 12. 21 (제 2 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자진반납 (2005.1.10) '93. 10. 18 (제 3 호) (재)한국환경수도 연구소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6가 86-3 (우:150-106) (02)2637-1234 (F)2631-8767 ......
2007-03-03 환경뉴스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06-21호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06-21호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13조, 동법 시행령 제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9조제1항의 규정에 따른 「유독물․관찰물질지정」(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06-1호, 2006.1.11)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고시합니다. &......
2007-03-03 환경뉴스
환경분야 취업자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환경분야 취업자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한강유역환경청, '예비환경인 인턴십 연수프로그램(GAP)' 실시 한강유역환경청 경인환경출장소는 환경관련학과 졸업(예비)생들을 위한 ‘예비환경인 인턴십 연수프로그램(GAP, Growth & Assistance Program)’을 마련, 올 상·하반기 두차례에 걸쳐 시범실시할 예정이다. ‘예비환경인 인턴십 연수프로그램’은 인천지역 환경기술개발센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인천지역 8개 대학 환경관련학과 졸업예비생 및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환경시설운영 실무체험부터 취업알선까지 환경분야 전반에 대한 현황과 정보를 제공해 실무배양 및 취업기회 확대를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방학을 이용해 실시되는 이번 ......
2007-02-24 환경뉴스
새집증후군 이렇게 예방하자!
새집증후군 이렇게 예방하자! 1. 새집에 입주한 후 새집증후군의 주요 예방책으로 크게 오염물질 배출원의 사용자제 및 개선, 환기와 건조를 통한 실내공기 정화, 생활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환기는 창을 열어둠과 동시에 실내 문을 모두 활짝 열어 통풍이 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음식물찌꺼기의 효과적인 관리, 실내금연 등 건축물 내에 거주하는 구성원들의 이해가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할것입니다. 2. 주거생활을 영위하면서... ① 쾌적한 온도와 습도유지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는 온도와 습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실내온도는 18~22도로 유지하고, 습도는 55% 전후로 유지되도록 ......
2007-02-06 환경뉴스
2007년도 환경교육 신청 받아
2007년도 환경교육 신청 받아 강사는 신청자의 희망에 따라 배정 □ 원주지방환경청(청장 : 신동원)은 각급 학교, 군부대, 일반 시민 등 환경교육을 받고자하는 기관·단체에 전액 국비로 환경교육을 지원하기로 하고 오는 2월 9일까지 상반기 환경교육 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 환경교육을 희망하는 기관·단체는 원주환경청 홈페이지를 통해 손쉽게 신청 할 수 있으며(우편, 팩스도 가능), 『환경교육·홍보단』 중 수요처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강사를 직접 선정하여 교육신청을 할 수 있다. - 홈페이지 : wonju.me.go.kr →[자주 찾는 메뉴]→[환경교육신청] - 우편 : 강원도 원주시 명륜1동 242-2(우편번호 : 220-947) - 팩스 : 033-764-0987 □ 그동안......
2007-01-15 환경뉴스
환경부공모직위 공개모집
환경부 공고 제2007 - 9 환경부 공모직위 공개모집 환경부에서는 새로 지정된 공모직위를 다음과 같이 공개 모집하오니 유능한 인재의 많은 응모를 바랍니다. 1. 임용예정직위 :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총량관리연구부장, 환경측정기준부장 2. 주요업무내용 임용예정직위 (보직가능한 공무원의 종류) 주 요 업 무 내 용 환경총량관리 연구부장 (공업연구관, 보건연구관 또는 환경연구관) ∘ 대기·수질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에 관한 조사·연구 ∘ 대기·수질오염물질 발생원 및 배출특성 조사·연구 ∘ 폐기물처리의 기준, 발생량 및 성상에 관한 검토·연구 ∘ 폐기물소각시설의 성능평가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등 ......
2007-01-15 환경뉴스
1
2
3
4
5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