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2급 식물 '황근' 성공적 복원
국립생물자원관복원지 유전자 다양성 확인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황근 복원은 민관 협업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종을 성공적으로 복원한 매우 모
범적인 사례다. 앞으로도 멸종위기에 처한 다양한 야생생물을 보전하기 위한 연구
를 수행할 계획이다." 강재신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장의 말이다.환경부 국립
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3일 가톨릭대학교 김상태 교수 연구팀과 함께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인 '황근'(Hibiscus hamabo·사진)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자생지
와 복원지 모두 유전자 다양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황근은 무궁화속
에 속하는 자생식물로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한다. 해안도
로 건설 등으로 인해 자생지가 파괴되고 개체수가 줄어들어 1998년 멸종위기 야생
생물로 지정됐다.환경부는 서식지 내 개체군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솔붓꽃'
'황근' '개병풍' 등 3종의 식물을 멸종위기 야생생물에서 해제하는 방안을 추진중이
다.국립생물자원관은 2013년 제주 서귀포시 표선리 자생지에서 종자를 채집해 증식
한 4200본의 묘목을 서귀포시에 기증했다. 2017년에는 송악산과 한림읍 올레길 등
지에 4000본을 복원했다.황근 복원은 2003년 민간단체인 '제주자생식물동호회'에서
처음 시작했다. 이후 여미지식물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국립생물자원관 등에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국립생물자원관과 가톨릭대 연구진은 지난해 6월부터
제주도와 전남 소안도 소사랑도 비양도 등 남해안에 위치한 13개 서식 집단의 유전
자 다양성을 분석했다. 황근은 자생집단과 복원집단 모두 유전적 건강성을 유지할
정도로 복원된 것으로 평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