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종합뉴스

  • 홈 아이콘HOME
  • 종합뉴스
  • 홈 아이콘
  • 종합뉴스
[사회/도시] 온난화 직격탄 아시아…적응 손실 대응 시급

온난화 직격탄 아시아…적응 손실 대응 시급

세계기상기구 ‘2024년 현황 보고서’ … “1.5℃ 목표 넘어도 기후행동 법적 윤리적 의무 강화”

지구온난화로 아시아 지역이 직격탄을 맞았다. 지난해 아시아 평균 기온이 관측 사상 가장 높았고 온난화 속도 역시 지구 평균 보다 2배 이상 빨랐다. 하지만 설사 국제사회가 기후 재앙을 막기 위해 약속한 마지노선인 1.5℃ 목표(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를 넘기더라도 기후행동의 법적 윤리적 의무는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아시아 지역의 지구 온난화 속도가 전세계 평균보다 2배가량 빨랐다. 사진은 장마가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들며 무더위가 찾아온 23일 경기도 안성팜랜드를 찾은 시민들이 활짝 핀 해바라기를 감상하는 장면. 연합뉴스

세계기상기구(WMO)는 23일 ‘2024년 아시아 기후 현황 보고서’를 공개했다. WMO가 매년 발간하는 이 보고서에는 아시아 지역의 기온·강수·빙하·해양 등 주요 기후 요소와 기상 재해 현황 분석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아시아 평균 기온은 1991~2020년 평균 기온보다 1.04℃ 높았다. 이는 관측 사상 가장 높거나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아시아 지역의 온난화 속도는 전세계 평균보다 두 배가량 빠르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4월부터 11월까지 지속된 장기 폭염으로 일본·한국·중국에서 월평균기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달이 많았다.

2024년 아시아 해역 해수면 온도 역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 10년의 상승률(연평균 0.24℃)은 전 지구 평균(연평균 0.13℃)의 2배에 육박한다. 2024년은 1993년 이후 해양열파(해양 표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의 영향 면적이 가장 넓은 해였다. 황해·동중국해의 해양열파 발생 일수는 150일 이상으로, 역대 최대였다.

히말라야 중부와 중국 북서부 톈산산맥에서는 24개 빙하 중 23개가 대규모로 유실됐다. 톈산산맥 동쪽에 있는 우루무치 빙하 1호의 크기는 1959년 측정이 시작된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카자흐스탄과 러시아 남부 등에서는 70년 만에 최악의 홍수로 11만8000명이 대피했다.

지구온난화는 아시아만의 문제는 아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실린 정책논문 ‘1.5℃ 목표, 변화하는 세계에서도 법적·윤리적 의무로 지속돼야(The pursuit of 1.5℃ endures as a legal and ethical imperative in a changing world)’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는 10년마다 약 0.26℃씩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정책들을 유지하면 2050년까지 약 2℃, 21세기 말까지 거의 3℃의 온난화가 예상된다.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온난화가 1.7℃에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측되며, 1/10의 확률로 2.3℃를 초과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더 큰 문제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미국이 파리협정에서 탈퇴하고 저탄소 정책을 철회하는 등 최근 지정학적 변화가 이러한 불확실성을 더욱 가중시킨다는 점이다.

이 논문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의 전세계 비용은 지난 20년간 연간 1430억달러로 추산된다. 만약 지구 평균기온 상승 폭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를 초과하면 적응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기후 관련 손실과 피해에 대한 재정적 보상 요구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연구진은 “1.5℃를 초과하더라도 파리협정의 목표가 무의미해지지 않는다”며 “법적 정책적 영향은 갑작스럽게 나타나지 않고 1.5℃ 도달 전후로 점진적으로 강화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5℃를 넘어서면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는 오히려 더욱 강화된다”며 “0.1℃ 추가 상승마다 피해와 손실이 증가하고 △그린란드와 서남극 빙상 △대서양 자오선 순환(대서양에서 따뜻한 바닷물이 북쪽으로 올라가고 차가운 바닷물이 남쪽으로 내려가는 거대한 해류 순환 시스템) △아마존 열대우림 등 주요 기후 임계점이 촉발될 위험이 높아진다”고 경고했다.